7월 슈퍼문과 태풍마리아로 인해 남서해안 침수피해 우려
달과 지구가 매우 가까워진다는 슈머푼(Super Moon) 현상 과 태풍 마리아의 영향으로 남해안과 서해안의 저지대 침수피해가 우려된다고 합니다. 시기는 7월 13일 금요일 부터 7월 16일 야간 새벽까지라고 하는데, 해수면이 상승하기 때문에 저지대에서의 안전사고에 주의 해야 할 것같습니다.
이번 슈퍼문은 올해들어서 두번째는 가깝다고 합니다. 최근 발생했을 때는 겨울에 발생했기 때문에 영향이 적었지만, 여름철에는 기압도 낮고 수압이 높기 때문에 해수명 상승이 발생하기 좋은 구조라고 합니다.
아래 내용은 국립해양조사원에서 발표한 내용을 한번 보겠습니다.
발췌내용
-
국립해양조사원이 설정한 4단계 고조정보(관심, 주의, 경계, 위험)를 기준으로, 이번 슈퍼문 기간에 22개 지역이 ‘주의’단계로 상승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 중 4개 지역(인천, 목포, 마산, 성산포)은 최대 ‘경계’단계까지 상승할 것으로 보인다.
주요 지역의 최고 조위 예보치*는 인천 9.67m, 목포 5.31m, 마산 2.20m, 성산포 2.78m 등 ‘경계’단계에 해당되며, 일 최대조차는 서해안 중부가 7월15일(일)에 7.1∼9.7m, 남해안 서부가 14일(토)에 3.7∼4.3m로 나타날 것으로 예상되나, 태풍의 영향에 따라 2~ 3일(12일또는 13일) 앞당겨 질 수 있다.
특히, 제8호 태풍 ‘마리아’는 7월 11일 12시경에 중국 푸저우 육상으로 상륙할 것으로 예상되며, ’97년 제13호 태풍 ‘위니’와 그 경로가 상당히 닮아있어 더욱 각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태풍 ‘위니’가 중국에 상륙할 당시(18일 12시~18시) 백중사리*기간과 겹쳐 남?서해안 일대에서 1일후 약 30∼80cm 이상 해수면이 상승하여 3일간 약 222억 원의 해수침수 피해가 발생한 바 있다. 당시 인천의 조위가 바람 등의 영향이 없었음에도 10.08m까지 상승하여 현재까지 가장 높은 해수면으로 기록되고 있다.
만약 이번에도 태풍이 해수면을 더욱 상승시키는 촉매로 작용할 경우, 서해안 일대는 최대 고조단계인 ‘위험*’ 단계까지 격상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야간?새벽시간(22∼06시) 부근에 물이 가장 높게 차오를 것으로 보여, 야간 바다활동에도 각별한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이동재 국립해양조사원장은 “해상상황에 즉각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지자체 등에 통보하여 대비토록 하고 있으며, 본부 해양영토과와 해양조사원은 대조기간(7.12.~16.) 상황반을 운영하면서 지자체, 행정안전부 등 관계기관에 실시간 해수면 높이와 고조정보를 신속히 제공할 것”이라며, “국립해양조사원에서 제공하는 ‘실시간 고조정보 서비스*’ (www.khoa.go.kr/hightide)를 통해 해양정보를 지속적으로 확인해줄 것”을 당부했다.